* 책 '맘마미아 월급 재테크 실천법' 참고
* 책에서 통장을 4가지로 쪼개는 것을 추천해서 한 번 해봄
💰통장 쪼개기💰
< 목 표 >
월급통장, 생활비통장, 비상금통장, 재테크통장 4개로 분류하기
< 정 리 >
월급통장은 월급이 들어오는 통장이다. 이 통장에서 고정지출 자동이체가 되며 나머지 3개 통장으로 필요한만큼 돈이 빠져나가게 만든다.
생활비통장은 식비, 교통비, 의류비 등 소비 개념 통장이다. 매월 발생하는 변동지출을 관리하기 위한 통장이다.
비상금통장은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지출(병원비 등)과 비정기적으로 나가는 돈(경조사비, 재산세, 자동차보험료 등) 평소 생활비보다 많은 지출이 예상되는 경우를 대비한 통장이다.
재테크통장은 저축, 투자를 관리하기 위한 통장이다. 여기서 적금이나 투자비용이 빠져나간다.
- 생활비통장과 재테크통장은 매달 0원이 되도록 한다.
- 비상금통장 규모는 월급의 1배~3배까지 확보한다.
- 변동지출(생활비)의 경우, 매달 조금씩 줄여나가 본다.
< 실 천 >
① 월급통장
- 월급이 입금됨.
- 최근에 만든 통장이여서 순수 월급이 들어오는 역할밖에 하지 않는 통장이다.
- 월급이 들어오면 이 통장에서 고정지출비와 변동지출비를 이체시킨다. 일부러 자동이체 설정은 안했다.
② 고정지출 통장
-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기타 개인보험, 플랫폼 및 신문 구독료, 개인적금 등 매달 지출하는 비용이 빠져나가게 해두었다.
- 고정지출통장에서 나가는 비용은 줄일 수 없다.
③ 생활비 통장
- 체크카드와 연결해두었고 매달 책정된 예산을 넣어둔다.
- 식비, 교통비, 의류비는 이 통장에서 빠져나간다.
④ 비상금 통장(월급통장)
- 비상금통장 = 월급통장. 따로 만들까 고민하다 월급통장과 겸하기로 했다.
- 현재(2월 초) 월급의 1배 수준의 비상금 밖에 없어서 3배까지 불린 다음 새 통장을 만들 생각이다. (굳이 안 만들 수도)
- 비상금 통장이니만큼 비상용 신용카드 1개와 연결해두었다.
- 이 통장은 계획에 없는 무지성지출, 지름신지출과 기타 경조사비 등을 담당할 예정.
- 장점 : 월급통장에서 남은 돈은 자연스럽게 비상금으로 탈바꿈됨.
⑤ 재테크 통장
- 아직 안 만듦.
- 저축 목적인 예금 통장, 주택청약통장, 보험적금과 투자목적인 CMA통장이 있다.
- 아직 재테크할 목돈이 없거니와 매달 돈을 모으기 힘든 상황이라 신경쓰지 않고 있다.
💳카드💳
(A) 주로 사용하는 체크카드 겸용 신용카드 1개 (투인원 카드)
(B) 잘 사용하지 않지만 유용한 신용카드 1개
(C) 안 쓰는 체크카드 1개
총 3개의 카드가 있다.
생활비 통장과 체크겸용 신용카드(우리)를 연결
비상금 통장과 잘 쓰지 않는 신용카드(현대)를 연결
근래에 투인원 카드를 신용카드로만 사용했었는데
이번달부터 예산 정해서 체크로 사용하려고 한다.
신용카드로 사용하더라도 선결제 서비스를 이용해서
과소비를 줄이는 습관들이기!

'관심사 > 일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구독 해지 / 신문 구독 해지 방법_매일경제 (0) | 2022.05.17 |
---|---|
신문구독 시작 (0) | 2022.02.07 |